몇 가지 이유로 서버에서 telnet 서비스를 막아야 하는 경우가 있다. 대부분 보안상의 이유로 ssh 만 열어두고 telnet 은 막는 경우인데 현재 수행중인 프로젝트도 그런 이유로 telnet 이 막혀 있다. 하지만 클라이언트에서 "telnet IP PORT" 명령어를 통해 해당 포트에서 서비스가 되고 있는지를 확인하는 방법이 굉장히 유용하기 때문에 몰래 열어서 확인해보고 다시 막기로 했다. ㅎㅎ 총 3가지 단계에 걸쳐서 작업을 해야하며 백업이나 이런걸 따로 할 필요는 없을 듯 하다. 1. /etc/services 파일을 열어서 telnet 항목을 찾는다. 아마 telnet 서비스가 막혀있다면 이부분이 주석처리 되어 있을 것이다. 다음 그림과 같이 주석을 삭제하면 된다. 참고로 telnet 은 23번..
GDI Handle 누수 감지하기에서 쓴 것처럼 종종 윈도우 어플리케이션에서 GDI Handle 이 새는 경우가 생기는데, 경우에 따라 수정할 때까지 시간을 벌어야 할 때가 있다.(사용자의 컴플레인이 극심한 경우 일단 땜빵해놔야 하기에.. -_-) GDI Handle 과 관련된 기본설정을 변경하는 방법은 GDI Handle 의 총 사이즈를 변경하는 방법이 있고 GDI Handle 의 총 갯수를 변경하는 방법이 있다. 여기서 주의할건. 둘 다 프로세스 하나에 대한 GDI Handle 의 개수라는 거다. (GDI Handle 사이즈는 정확히 측정해서 분석을 못해봤지만, 기본 사이즈를 봤을 때, 프로세스 하나에 대한 값이라는 걸 짐작할 수 있다.) 1. GDI Handle 의 메모리 사이즈를 변경하는 방법은 ..
마치 자기가 무슨 flash 관련 프로그램이라도 되는 마냥 떡허니 작업관리자에 당당히도 떠있는 WinFlashGuard.exe 라는 녀석을 엊그제 발견했다. PC 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는 정확히 모르겠지만, 적어도 내가 수행중인 프로젝트에서 만든 웹 시스템에는 심각한 영향을 준다. 로그인 화면에서 몇몇 파일들을 사용자 PC 에 배포하는데.. 이녀석이 떠있으니, PC가 완전 먹통이 되어 버린다. process explorer 등이 있었으면 좀 더 찾아볼 수 있었겠지만, 아무 툴도 없어서 일단 상황만 파악을 했다. 암튼.. 죽여줘야 하는 녀석임에는 틀림없다. 얼마전에 발견한 pooh.vbs (시간이 되면 요녀석도 제거하는 방법을 좀 써야겠다.)요넘도 참 머리 좀 썩히고 V3로는 감지도 치료도 안되서 홧김에 ..
다음처럼 window.close() 하면 될지 알았더니... 닫기 다음 처럼 당황스럽게도 안되더라... 웹 서핑을 좀 해봤는데.. 불행하게도 찾아낸건 전부 다 안먹혀서 찾아낸것들을 짬뽕해가다보니.. 다음 처럼하니까 Internet Explorer 7 에서도 조용히 닫혀주시더라.. ㅎㅎ 닫기 당췌 어떤 원리로 opener 를 'X' 로 설정하고 _opener 설정도 저렇게 희안하게 하는지.. 이해불가능이지만. 어쨌건 된다. -_- (사실은 귀찮아서 찾아보기도 싫다.)
- Total
- Today
- Yesterday
- Microsoft
- 의왕
- Windows
- JavaScript
- TyrusServerContainer
- Java
- 이표채
- 미투데이
- prudent
- 본사
- Internet Explorer 7
- WsServerContainer
- qaos.com
- GDIProcessHandleQuota
- websocket
- CODSTA
- logback
- coding standard
- VMware
- JTest
- 할인채
- 웹표준
- WebLogic
- 파생
- 채권
- 이미지
- hp-ux
- ActiveX
- SharedSection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