기술적인 기반은 계속 변하는데.. 사용자는 변하지 않으니..
ActiveX 는... M$가 만들어낸 마물로써... 익스플로어 6.0이 나올때도 크게 문제가 되었던 부분이죠.. 국내 웹환경의 비표준화. 모든걸 ActiveX를 통해 해결하려고 하는 안이함과 개발자가 그렇게 밖에 개발할 수 없도록 종용하는 사용자들. 이미 국내도 대부분의 정보시스템은 웹기반으로 흘러가고 왠만한 개발자라면 웹프로그래밍 정도는 호기심에서라도 한번씩 해보았을 것이며 end-user 또한 웹을 안써본 사람은 없을 것인데.. 어찌하다가 웹이 cs로 변신하게 되었는지...-_- 표준을 지켜도 기술이 변하면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데 국내 웹환경처럼 '되기만 하면 되는' 인식 속에서는 정말 막막함만 남을 뿐입니다. 당췌 M$에서는 무슨 생각으로 activeX 를 만들어냈고 과연 어떤 이유로 국내에선..
개발이야기
2006. 10. 25. 08:51
공지사항
최근에 올라온 글
최근에 달린 댓글
- Total
- Today
- Yesterday
TAG
- 파생
- prudent
- SharedSection
- 이표채
- 이미지
- Java
- JavaScript
- 웹표준
- 미투데이
- VMware
- qaos.com
- hp-ux
- Internet Explorer 7
- websocket
- 본사
- 의왕
- CODSTA
- 채권
- GDIProcessHandleQuota
- 할인채
- JTest
- WebLogic
- Microsoft
- logback
- WsServerContainer
- Windows
- TyrusServerContainer
- ActiveX
- coding standard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
글 보관함